사목자료
교구3개년 특별 전교의 해74. 성체성사는 어떤 성사입니까?
- 작성자 : 홍보
- 등록일 : 2022-06-14
- 조회수 : 481
74. 성체성사는 어떤 성사입니까?
성찬례 또는 미사라고도 부르는 성체성사는 십자가상에서 성부께 바치신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를 현재화하며 그분의 파스카(죽음과 부활)를 기념하는 잔치입니다. 주님의 만찬, 빵 나눔, 성찬 모임, 하느님의 거룩한 전례, 친교(영성체)라 부르기도 합니다(가톨릭교회교리서 1323-1332 참조; 간추린가톨릭교회교리서 164 참조).
※ 성체성사란?
옛 교리 문답에는 ”성체성사는 무엇이뇨?“ ”성체성사는 칠성사 중에 제일 큰 성사요, 천주교회의 제사요, 또한 우리 영혼의 양식이니라.“로 되어 있습니다. <가톨릭교회교리서>에서는 이렇게 답합니다. ”우리 구세주께서는... 최후 만찬에서 당신 몸과 피의 성찬의 희생 제사를 제정하셨다... 이 제사는 자비의 성사이고 일치의 표징이고 사랑의 끈이며, 그 안에서 그리스도를 받아 모시어, 마음을 은총으로 가득 채우고 우리가 미래 영광의 보증을 받는 파스카 잔치이다“(1323항).
성체성사는 축성된 빵과 포도주, 곧 주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는 ‘미사 성제’를 말합니다. 성체성사는 성찬례라고도 불리는데 이것은 그리스말 ‘에우카리스티아’를 번역한 것으로, 원래 ‘감사’라는 뜻입니다. 주 예수께서 최후 만찬에서 감사의 기도를 바치신 뒤 성체성사를 제정하셨기 때문이며, 교회가 이 성사로써 하느님께 감사를 드리기 때문입니다. 이 밖에도 ‘주님의 만찬, ’빵 나눔‘, ’성찬 모임‘이라 부르기도 합니다(간추린가톨릭교회교리서 160).
공유하기 화면 닫기